2010년 7월 29일 목요일

1주일간의 유럽여행(자그렙)

이제 마지막 도시 자그렙만 남았네요. 자그렙은 크로아티아의 수도입니다. 작은 도시라서요 지하철도 없고 북적거림도 없지만 나름 매력있는 도시입니다.

-----------

1)이유

자그렙은 사실 처음 여행계획을 세울 때 생각하지도 않았었던 도시 였다. 하지만 프라하에서 부다페스트로 돌아오는 버스티켓을 잘못 사버리는 바람에 부다페스트에서 너무 많이 있게되서  주변국가 한곳 갈 만한 곳을 찾고 있었다. 그래서 결정난건 크로아티아의 자그렙. 자그렙까지는 버스가 없는 관계로 기차로 이동하기로 했다. 아무런 기대도 정보도 없이 가는 자그렙이었지만 기차에서 만난 크로아티아 인의 열성적인 소개로 대략적인 관광지를 알게 되었다. 하지만 내가 도착한 시간은 저녁 11시경. 기차역에서 내려서 어두컴컴한 시내를 바라보는데 한숨이 확 나왔다. 다행이도 무료로 배포하는 지도를 구할 수 있어서 우선 야경을 보기로 했다. 그렇게 자그렙에 도착했다.

 DSCF1179

2)프라하와 자그렙

앞서 이야기 했듯이 자그렙은 정말 작은 도시 이다. 반나절이면 시내를 다 돌아다닐 수 있다. 밤 늦게 도착해서 시내 돌아다니면서 노숙을 한 나는 이미 밤동안 볼만한 것은 다 봤을 정도였다. 하지만 자그렙은 자그렙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었다. 음… 무엇인가 정리되지 않은 그러면서 프라하 보다 작고 아담하고 더 동화 같나고 할까. 음… 프라하가 잘 가꾸어진 어린이 놀이공원 같은 느낌이라면 자그렙은 약간 어수선 한 아이들 방 같은 느낌이다.  (물론 모든 사람마다 다른 느낌이겠지만 나는 그렇게 느꼈다. 반면에 부다페스트는 남성적이고 웅장한 느낌이었다.) 저 위에 성당 지붕에 저렇게 기와를 까는 사람들 일는 생각이 드니 왠지 밝고 순수할 것 같다.  저 성당 때문이었을지는 모르지만 그냥 도시를 돌아다닐때 마다 다 장난 같다. 작게 옹기종이 모여 있는 건물들, 오래된 중앙 시장이라고 해서 봤더니 운동장 만한 시장. (물론 지하가 있긴 했지만) 부다페스트 같이 두 도시의 연합으로 만들어 졌다고 했지만 한국 한 동 하고 다른 동(洞)이 합친 것 보다 작은 면적. 여튼 그냥 다 장난스럽다. 빨간색과 하얀색의 체크무늬 국기도 그냥 장난스럽다. 그래서 가볍고 귀여워서 좋았다. 아 참고로 저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2층 건물이 이나라 국회의사당 이다. 귀엽지 아니한가. 게다가 겸손하기 까지 한다.

 DSCF1164

3)노숙

앞서 이야기 했듯 밤에 늦게 도착해서 였기도 했지만 가장 큰 이유는 현지 화폐(쿠나)가 없어서 였다. 기차에서 만난 자그렙 주민이 역 주변에 있는 유스호스텔 까지 데려다 줬었는데 쿠나가 없어서 묵고 갈 수 없었다. 그래도 미리 부다페스트에서 20달러 정도 바꿔 노은 것이 있어서 그걸로 카페에 가서 커피와 샌드위치를 시키고 1시서 부터 4시 까지 죽치고 있었다. 마침 카메라 배터리도 나가서 충전도 해야 했었기 때문이다. 그러게 책읽는척 하면서 꾸벅꾸벅 졸다가 너무 눈치가 보여서 나왔고 아래 사진앞에 있는 광장 벤치에서 다시 꾸벅꾸벅 졸다가 깨고를 반복을 하니 어느새 해가 뜨고 있었다. 일요일이기도 해서 새벽에 일찍 시작하는 성당 미사에 참여하고 아침을 먹으러 나갔다. 생각보다 가뿐했었다. 꽤 쌀쌀한 날씨에도 입돌아가는 일 없이 나름 상쾌하기까지 했다. 이렇게 노숙을 몇시간 노숙을 하고 나니 가끔 여행중에 (안전하기만 하다면) 노숙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DSCF1191

5)한국 단체관광객

좁은 자그렙 구시가지의 골목을 헤메고 있는데 저 멀리서 동양인 한 무리가 다가 오고 있었다. 점점 가까이 오니 약 40~50대 아줌마 아저씨들이었다. 가이드는 현지 인이었는데 영어로 설명을 해 주고 있었다. 내가 열정적으로 설명해 주는 가이드한테 미안함이 들 정도로 사람들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저 말하나 보다 하는 표정 하다못해 자기들끼리 수다를 떨고 사진찍기 바뻤다. 신기한건 다들 사과 한봉지씩 사 들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중앙 시장에서 하는 사과가 정말 쌌다. 한 500원 정도로 1킬로의 사과를 살 수 있었으니 한국 아줌마들 오면서 다들 사셨나 보다. 나는 쪽팔리는 얼굴을 감추며 그 무리를 지나오는데 갑자기 좁은 골목을 울리는 “우헤헤헤헤헤헤헤헤헤헤” 하는 여자치고 낮은 저음의 웃음소리(저 가슴 깊숙한 곳에서부터 울려오는 웃음소리) 가 온 골목을 울렸다. 좁은 골목에 바닥바닥 붙어 있는 건물의 앞뒤로 메아리가 울렸다. 그리고 다시 한번 “우헤헤헤헤헤헤헤헤헤헤” 처음에는 엄청 쪽팔렸었다. 거리 노천카페에서 앉아서 아침을 먹고 있던 현지인들과 다른 관광객들이 하나둘 그 관광객들을 보기 시작했다. 다시 울리는 웃음소리. 뭐가 그렇게 웃긴건지 모르겠지만 이제는 카페에 앉아있던 사람들까지 어이없어 하다가 웃기 시작한다. 그리고 또다시 같은 웃음소리. 이젠 나도 웃겨서 웃었다. 정말 쪽팔리지만 멋있는 아줌마였다. 웃음소리 하나로 온 골목을 휘어 잡으셨었다.

DSCF1193

6) 일본인

도시를 둘러보고도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서 그냥 일찍 기차역으로 갔다. 거기 앉아서 책도 보고 꾸벅 졸기도 하는데 한 동양 여자분이 오고 있었다. 내가 앉은 벤치 앞에는 코인락커가 있었는데 그곳에 짐을 보관하러 온거였다. 근데 왜 하필이면 ‘고장’이라고 쓰여 있는 락커에 트렁크를 집어 넣는지… 그래서 내가 거기 고장났다고 하니까 화들짝 놀라면서 날 바라본다. 내가 그렇게 무섭게 생긴 사람은 아닐텐데 그렇게 놀라기 까지야……. 여튼 그래서 저쪽 락커는 고장 안났다고 하니 순순히 내가 지정해준 락커에 트렁크를 넣는다. 근데 이 여자 동전이 없었다. 뭐야……. 그러면서 나를 처다본다. ‘트렁크 내가 보고 있을께요. 환전소 다시 갔다 와요.’ 하니까 그제서야 웃으면서 ‘생큐~’를 외친다. 갔다 와서 한국 사람이냐고 물어보고 한국어로 ‘저 한국어 공부하고 있어요’ 란다. 얼. 그래서 나도 일본어로 ‘저도 일본어 공부해요’ 하니 일본 특유의 ‘에~에! 스고이~!’ 하는 감탄사와 함께 날 본다. 자기는 지금 2주째 여행중이고 자그렙 보고 바로 베네치아로 넘아간단다. 이런저런 관광지 이야기 해주니 여자가 가면서 일본 사탕을 하나 고맙다고 주고 간다. 그리고 다시 나는 꾸벅꾸벅 졸기 시작했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그때 할일도 없었는데 시내까지 같이 가 줄껄 그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더 친해졌을텐데. 여행을 다니다 보면 확실히 일본 사람들하고 빨리 친해지는 듯 하다. 아무래도 문화가 비슷한 것도 있고 일본인 특유의 예의바른 모습이 거부감 없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근데 나는 한국사람하고 여행지에선 친해진 적이 없었던 거 같다. 왜일까??

2010년 7월 28일 수요일

1주일간의 유럽여행(프라하)

지금 여행 다녀온지 3개월이 되어 가는데 인제 프라하 여행을 씁니다. 여행다녀와서 학교일 밀린거 하고 시험보고 아파트 구하고 그러다 보니 방학이더라구요. 그래도 여행가서 생각한것들은 아직 다 머리속에 남아 있는게 다행입니다.

------

DSCF0894

1) 버스터미널의 안내데스크

아침일찍 프라하에 도착했다. 프라하의 버스터미널 이름은 플로렌츠. 근데 들리는건 플로렌스다. 플로렌스=피렌체=이탈리아.. 응? 이런 쓸데없는 생각하는 동안 프라하에 와있었다. 터미널은 깔끔했지만 크지는 않았다. 안내데스크를 중심으로 양옆에는 버스표 파는 회사들의 창구가 늘어서 있다. 이른아침이다 보니 아직 문을 연 은행도 식당도 없는것을 알고 있으므로 안내데스크에서 지도도 받고 관광지도 물어볼겸 찾아갔다. 하얀색 와이셔츠를 입고 있는 살집좋은 아저씨가 나에게 지도를 주면서 설명해 준다. 근데 놀랍게도 그 아저씨는 장님이었다. 확실치는 않지만 적어도 시력이 아주 안좋으신 분이셨다. 그런데도 능숙하게 안내일을 해주고 계셨고 이른 아침부터 생글생글 웃으면서 기분 좋게 해 주고 있었다. 그리고 옆의 다른 직원들도 웃으면서 모닝커피를 마시고 농담을 주고 받고 있었다. 나는 장애인을 대하는 이런 태도들이 부럽다. 그런 사회가 부럽다. 프라하에서 첫날 아침은 기분좋은 아침이었다.

2)은행환전.

시내를 걷고걷고걷고걷다가 드디어 적당한 숙소를 하나 발견했다.  이미 날은 충분히 더워졌고 더 찾기도 귀찮고 해서 들어가기로 했다. 문제는 돈. 아직 체코 코루나를 안 바꿔서 은행가서 바꾸겠다고 하고 은행을 찾아 다시 걷고걷고걷고또 걸어서 환전을 했다. 그때는 몰랐는데 다시 오후에 돈이 필요해서 환전을 했다. 헉… 수수료가 50코루나 였다. 속이 쓰려왔다. 수수료만 100을 내다니. 미리미리 알아보지 않은 내가 잘못이다. 그렇게 울며 겨자먹기로 환전을 하고 다시 걷고X3을 해서 숙소에 도착했다. 더운만큼 쉽게 짜증이 난다.

DSCF0906 

3)날짜계산

이번여행간 대박 실수는 돌아가는 비행기 노친 것 이고. 두번째는 호텔 숙박비를 하루 더 준것이다.  바로 내가 프라하에서 돌아가는 버스 날짜를 잘못 계산하고 하루 일찍 사 버린것. 하지만 호스텔은 이미 2일 치를 미리 준 상태. 그리고 그 하루치 더 준 날은 5월 1일이어서 메이데이 행사로 성수기 시즌 가격이었다. 다시 엉엉 울며 겨자를 먹었다.

DSCF0911

4)프라하 광장

프라하 또한 여느 도시들 같이 멋들어진 광장이 있다. 구도시 중심에 위치한 광장은 유명한 천문시계탑과 성당, 종탑, 그 외 예쁜 건물들에 둘러 싸여 있었다. 여기에 도착해서야 아 드디어 프라하에 왔구나 하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바글바글한 사람들도 짜증나지 않았다. 그저 내가 여기에 서 있는것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비록 엄청나게 떠들어 대는 관광객들의 소음에 이런 감동의 시간은 재빨리 날라가 버렸지만…….

DSCF0955

5)흑백사진

나는 흑백사진을 좋아한다. 그냥 옛스러워보여서 좋아하는데, 역시나 프라하는 흑백사진이 잘 어울리는 도시였다. 돌 깔린 길, 고풍스런 건물들, 간판들이 흑백사진을 위한 도시로 만들어 주고 있었다.  가이드북 같은데 보면 프라하는 중세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고 하지만 내가 봤을땐 꼭 중세모습만 아니라 과거 유럽의 건축사를 잘 보존하고 있다는게 맞는 말일것이다. 그만큼 고딕에서 모던니즘까지의 건물들을 다 발견할 수 있다. 유명한 모더니즘 화가 무하의 나라 아닌가. 프라하에서는 살아있는 유럽건축사를 공부 할 수 있었다.

DSCF1012

6) 야경

프라하의 야경……. 기대했던 것 보다 이하의 프라하에 실망해 있을 때 바로 프라하를 사랑하게 만들어준 것. 야경. 결국 난 이 도시가 좋다.

DSCF1077